1) 우선 vpc를 먼저 만들어줘야 한다.
VPC의 이름과 IP 주소 범위를 입력
생성이 되었고, 고유의 VPC ID가 부여되었다. (새로 고침하면 [생성중]에서 [운영중]으로 변경됨)
2) 이번에는 public subnet을 생성해보자.
3) 이번에는 Network ACL을 설정해보자.
원래 VPC를 생성하면 default로 Network ACL이 생성된다.
처음 만들게 되면, Inbound, Outbound 규칙이 모두 비어있기 때문에, [Rule 설정] 버튼을 클릭해서 Inbound, Outbound 규칙을 추가해주면 된다.
4) route table도 있지만, 이것도 default 값이 있기 때문에 따로 설정해주지는 않겠다.
다음의 튜토리얼을 따라했습니다.
nCloud Console에서 서버 만들기
콘솔로 들어간다.
Services를 클릭해서 Server를 검색해 Server로 들어간다.
원하는 서버를 설정하고 원하는 서버 이미지를 클릭한다.
이제 최종 확인에서 확인을 해주고 [서버 생성] 버튼을 클릭해주면 서버가 생성된다.
vpc 삭제는 [서버 중지] - [서버 반납] - [subnet 삭제] - [vpc 삭제] 순서로 이루어진다.
Terraform on NAVER Cloud의 “이영민 멘토님”의
Naver Cloud 구조 및 사용법 이해 세미나를 참고하였습니다.
'개발 >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보안 - 대표적 보안 기술 : 망분리 기술 (0) | 2023.07.27 |
---|---|
클라우드 보안 - 대표적 보안 기술 : VLAN 기술 (0) | 2023.07.27 |
클라우드 보안 - 대표적 보안 기술 : end-to-end 보안 (0) | 2023.07.24 |
클라우드 보안 - 대표적 보안 기술 : Container (0) | 2023.07.24 |
클라우드 보안 - 대표적 보안 기술 : 방화벽 (0) | 2023.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