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발209 ubuntu EC2에 docker 설치하기 1. PuTTY로 ubuntu EC2에 접속하기 2. docker 구축 과정 ubuntu 창에 다음 명령어들 차례로 입력 [Docker]Docker 설치하기(Ubuntu) 해당 블로그에 나와있는 순서대로 docker를 설치하였다. (패키지 저장소 추가 & Docker CE Install) docker 실행 중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면 됨 sudo systemctl status docker active(running) 이므로 실행 중임 :q 를 입력하면 나갈 수 있음 3. sudo 명령 없이 docker 명령어 사용하기 설정 1. 현 사용자(ubuntu) ID를 docker group에 포함 명령어 : sudo usermod -aG docker ${USER} 2. 터미널 끊고, 다시 s.. 2023. 6. 3. 초간단 VM 사용법 VIM 에디터 이해 및 설치 VIM : Vi improved 에서 앞 글자를 빼내어 만든 이름 Vi : 전통적인 유닉스 에디터(개발자: 빌 조이), Visual Editor 줄임말 Vim 은 Vi에 자동화, 시각화 메뉴등을 추가한 프로그램 Vim 이외에 이맥스(Emacs, GNU 프로젝트 설립자 리차드 스톨만이 개발)라는 유명한 에디터가 있음(대부분 개발자는 두 에디터 중 하나를 사용함) vim 네 가지 모드 일반(명령) 모드 : 처음 vim을 실행했을 때 또는 입력 모드 / 명령 모드에서 ESC입력 시 - 찾기, 커서 이동 등 명령(명령행) 모드 : 일반 모드에서 : 입력 시 - 저장, 파일 읽기, vim 설정 등 입력(편집) 모드 : 일반 모드에서 a 또는 i 또는 o 키 입력 시 - 내용 입력 → .. 2023. 6. 2. 우분투 패키지 관리 ubuntu 배포판 다양한 배포판 중 하나 데비안 배포판을 기반으로 캐노니컬 사가 우분투 배포판 개발 데비안 배포판은 apt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소프트웨어 설치 및 업데이트를 간편하게 한 패키지 우분투의 의미 : 남아프리카 부족 언어로 ‘너가 있으니 나도 있다.’라는 의미 우분투 데스크탑 배포판(X 윈도우 기반, GUI 환경 기본 제공) 과 우분투 서버 배포판, 두 가지 기본 배포판을 제공 지원 기간이 짧은 일반 버전과 지원기간이 장기(5년)인 LTS(Long Term Support) 버전으로 나눠서 발표 ubuntu 패키지 관리자 CentOS나 Fedora와 같은 RedHat 계열 배포판은 RPM 이라는 패키징 시스템을 사용함 ubuntu와 같이 데비안 계열 배포판은 deb라는 패키징 시스템을 사용함 .. 2023. 6. 2. 하드링크와 소프트링크 하드 링크와 소프트 링크 cp 명령 : 파일 복사 1MB 사이즈를 가지고 있는 A 파일을 B 파일로 복사 ex. cp A B : A를 B로 복사, A와 B는 각각 물리적으로 10MB 파일로 저장 하위 폴더 포함 복사시키기 ex. cp -rf * 폴더 하드 링크 : ln A B A와 B는 동일한 10MB 파일을 가리킴 즉, 동일한 파일을 가진 이름을 하나 더 만든 것일 뿐 전체 파일 용량은 달라지지 않음 cp와 ln의 차이점 A파일을 B파일에 복사한 경우 - cp : A파일을 수정해도 B파일은 바뀌지 않음 - ln : A파일을 수정하면 B파일도 바뀜 소프트(심볼릭) 링크 : ln -s A B Windows OS의 바로가기와 동일 ls -al 하면, 소프트 링크 확인 가능 (ex. lrwxr-xr-x lin.. 2023. 6. 2.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vs 바이너리 코드 이미지 또는 바이너리 : 실행파일 실행 중인 프로그램 : 프로세스 가상 메모리 및 물리 메모리 정보 시스템 리소스 관련 정보 스케줄링 단위 리눅스는 다양한 프로세스 실행 환경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프로세스가 실행됨 유닉스 철학 : 여러 프로그램이 서로 유기적으로 각자의 일을 수행하면서 전체 시스템이 동작하도록 하는 모델 foreground process / background process foreground process : 쉘(shell)에서 해당 프로세스 실행을 명령한 후, 해당 프로세스 수행 종료까지 사용자가 다른 입력을 하지 못하는 프로세스 예를 들어 ls -al을 입력하면 ls -al의 출력결과가 전부 나온 후에 그 다음 명령을 입력할 수 있음 backgrou.. 2023. 6. 2. 리다이렉션과 파이프 Standard Stream (표준 입출력) command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세 가지 스트림을 가지고 있음 표준 입력 스트림 (Standard Input Stream) - stdin 표준 출력 스트림 (Standard Output Stream) - stdout 오류 출력 스트림 (Standard Error Sream) - stderr 모든 스트림은 일반적인 plain text로 console에 출력하도록 되어있음 리다이렉션(redirection) 표준 스트림 흐름을 바꿔줄 수 있다. , files.txt (ls로 출력되는 표준 출력 스트림의 방향을 files.txt로 바꿔줌 → files.txt에 ls로 출력되는 .. 2023. 6. 2. 리눅스 파일시스템 및 사용자 관리 리눅스와 파일 모든 것은 파일이라는 철학을 따름 모든 인터렉션은 파일을 읽고, 쓰는 것처럼 이루어져 있음 마우스, 키보드와 같은 모든 디바이스 관련된 기술도 파일과 같이 다루어짐 파일 네임스페이스 전역 네임스페이스 사용 ex. /media/floofy/dave.jpg 쉘 종류 쉘(shell) :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 또는 운영체제간 인터페이스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해서, 커널에 명령을 요청해주는 역할 관련된 시스템콜을 사용해서 프로그래밍이 작성되어 있다. Bourne-Again Shell (bash) : GN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됨, 리눅스가 거의 디폴트 Bourne Shell (sh) C Shell (csh) Korn Shell (ksh) : 유닉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됨 리눅스 기본 명령어 정리.. 2023. 6. 1. 클라우드 서비스(AWS 서버 구축) 리눅스 설치 방법 - 2가지 방법 가상 머신 소프트웨어 PC 환경에 따라서, 예상치 못한 문제들을 만날 수 있음, 설치가 불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활용 → 본 강의에서 활용할 방법 최신 기술에 익숙해진다는 장점 동일한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 단, 설정에 따라 진행이 필요 가볍게 이해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 서버 환경을 미리 구축해놓고, 간단한 설정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서비스 이전 : 미리 서버 컴퓨터를 구축 현재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사용 사용할 클라우드 플랫폼 : AWS AWS 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EC2 서비스로 이동 이제 인스턴스 만들기를 하면 인스턴스가 생성된다. 이제 해당 인스턴스에 탄력적 IP(고정 IP)를 할당하자. 탄력적 IP 주소 할당 버튼 클릭 .. 2023. 6. 1. 모던 서버 기술 관련 배경 지식 이해 docker : 일종의 서버 환경을 감싸서, docker 레벨로 서버를 다룰 수 있음 따라서, 서버 이전, 서버 패키지 버전 변경 등 일일이 서버 설정이 불필요 단순히 도커를 만들어서, 서버에서 실행하면 됨 웹서비스 개발과 마이크로 서비스 모놀리틱 구조 : 하나의 서버에 모든 기능을 넣음 1세대 : USER —— INTERNET —- WEB SERVER (Read static HTML) 2세대 : USER —— INTERNET —- WEB SERVER (Create request-based HTML from CGI + DB) 3세대 : USER —— INTERNET —- WEB SERVER MVC 패턴 기반 프레임워크 활용 MVC : Model - View - Control 패턴으로 구조화된 프레임워크를.. 2023. 6. 1. 클라우드 서비스 AWS (1) Cloud Computing : 다른 컴퓨터를 빌려서 원격 제어를 통해서 사용하는 것 Hosting : Cloud Computing과 의미는 같지만 오래된 표현 Host : Internet에 연결된 Computer 1대 Hosting : Host를 빌려줘서 서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Cloud와 Hosting 모두 서버 컴퓨터를 빌려줌 EC2(Elastic Compute Cloud) AWS에서 여러가지 서비스를 가지고 있는데 그 중 순수하게 컴퓨터를 빌려주는 서비스 왜 빌려서 사용하는가? 처음 웹사이트를 운영한다고 생각 방문자 수 : 하루 100명 동시 접속자 : 1명 이런 서비스를 시작할 때 16GB의 메모리가 장착된 최신식 컴퓨터는 과한 사양 → EC2 서비스를 이용하면 0.5GB의 메모리를 .. 2023. 5. 29. IT 인프라 (3) Storage 기초 익히기 스토리지란 무엇이며 왜 필요할까? 스토리지 :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비휘발성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장치 이전까지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드웨어의 견고함, 성능, 그리고 용량에 집중하였다면, 최근에는 데이터 레이크, 데이터 가상화 기술 등 다양한 데이터 스토리지 기술이 조명받고 있음 최근 인공지능이나 IOT 등 다양한 IT 기술들이 등장 → 데이터의 양이 상당히 많아짐 → 다양한 데이터 스토리지 기술들이 조명 받음 스토리지의 성능과 가용성을 높여주는 RAID 기술 RAID 구성을 도와주는 Array Controller RAID는 하드웨어적으로도, 소프트웨어적으로도 지원이 가능 RAID는 여러 개의 저장장치를 묶어서 마치 하나의 Disk 처럼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술 Disk.. 2023. 5. 28. IT 인프라(2) Network 기초 익히기 네트워크란 무엇이며 왜 필요할까? 네트워킹 어원적으로 Net(그물) + Work(일) : 그물을 짜는 행위 → 그물망 처럼 서로와 서로를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세상을 가능하게 하는 것 → 다른 사람들과 정보와 자원을 공유할 수 있음 네트워크를 통해 장비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우리는 정보와 자원을 공유함 OSI 7 Layer 네트워크를 이해하기 위한 가장 중요하고 기반이 되는 것 OSI 7 계층은 국제 표준화 기구 (ISO)가 발표한 모델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통신하는 구조를 7개의 계층으로 분리하여 각 계층간 상호 작동하는 방식을 정해 놓은 것 신뢰성 있고, 원활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모든 장비들이 지켜야하는 통신 규약 OSI .. 2023. 5. 27. 이전 1 ··· 14 15 16 17 18 다음